본문 바로가기
재테크/포트폴리오&결산

[22.06] 해외주식, ISA, 비트코인 삼박자의 시작

by bm님 2022. 7. 1.
반응형

해외주식, 비트코인, isa로 포트폴리오가 서서히 완성되어 간다. 6월도 5월만큼 힘든 달이었다. 소비자물가가 피크를 찍고 하락할 줄 알았는데 가장 높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연준의 급작스런 0.75 금리인상 까지. 모두 예상을 벗어났다. 역시나 주가는 롤러코스터를 타기 시작했고, 나의 계좌도 출렁거렸다. 하지만 놓치지 않고 평소 좋아 보이는 줍줍 해서 자산을 늘려나갔다.

 

 

전체 포트폴리오 성과

해외주식, isa, 비트코인 포트폴리오의 수익률과 수익금의 스프레드시트
22년 6월 전체 포트폴리오 성과

6월 1일 s&p 500 지수는 4149.78이었고, 6월 30일 지수는 3785.38로 마감했다. 한 달 동안 8.78% (364.4 포인트)가 하락하는 와중에도 -5% 정도 하락률로 나름 선방했다. 꾸준히 분할매수를 한 덕분에 큰 하락을 면할 수 있었다. 비트코인 매수를 시작하자마자 큰 하락을 맞이 해 가슴이 아프지만 이제 모으기 시작했고, 2024년까지 꾸준히 하루에 1만 원씩 매수할 계획이라 아직 낙담은 하지 않는다. 

해외주식

22년 6월 해외주식 포트폴리오 별 수익금과 수익률
22년 6월 해외주식 포트폴리오 현황

지수가 8% 하락한 달 치고는 꽤 선방한 결과라서 만족한다. 모든 지표들은 최악이었고, 진짜로 다 정리하고 쫌 관망하다가 들어와야 되나 엄청 고민하였다. 그나마 계좌를 지켜준 건 리츠다. 가장 높은 비율로 환율이 쌀 때부터 매집해두었던 터라 너무나도 고마웠다. 배당주 포트는 사실 schd 단일 종목 구성인데 추후에 버핏에게 코카콜라라는 황금 배당주가 있듯, 나에게도 그런 배당주가 생긴다면 담아둘려고 배당주 포트폴리오로 명명해서 운영 중이다. 배당주와 리츠에 거진 집중된 투자를 그래서 서서히 분산해 나가서 손실을 많이 줄일 수 있었다.

배당주 (SCHD ETF)

22년 6월 배당주(schd) 수익현황
배당주 포트폴리오

하락은 많이 했지만 더 못사서 너무 안타까운 종목이다. 포트폴리오에서 단일 종목으로 차지하고 있지만 이 녀석은 대단하다. 왜냐하면 6월이 배당금 지급 달인데, 무려 분기배당을 전년 대비 36% 정도 증가시켰기 때문이다. 기대도 안 하고 있었는데, 선물을 준 아주 고마운 녀석이다. 전월 대비 7주를 추가 매수 하였다. 앞으로 해외주식에서 20% 비중을 차지할 때까지 꾸준히 매수할 계획이다.

리츠

리얼티인컴, 스토어 캐피탈, 스태그 인더스트리얼 수익률과 수익금 현황
리츠 포트폴리오

이번 하락장에서 수익률을 지켜준 고마운 얘들이다. 리얼티 인컴이 하드캐리했다고 볼 수 있는데 지수가 곤두박질칠 때 놓치지 않고 추가 매수하였다. 리얼티 인컴 12주, 스토어 캐피탈 3주, 스태그 인더스트리얼 4주를 추가했다. 리츠포트폴리오가 리테일 부동산 주식에 많은 비중이라 리얼티를 조금 매도해서 스태그의 비중을 높일까 고민 중이다. 현재 리얼티 인컴의 매수금액 대비 배당률이 4.51%인데 스태그의 시가 배당률이 5%를 넘는다면 과감하게 비중 조절을 할 계획이다. 또한 편중된 섹터를 분산하기 위해서 디지털센터 리츠를 포트에 추가할 생각인데, 아이언 마운틴(IRM)을 추가할지 디지털 리얼티(DLR)를 추가할지 고민이다. 

MANTA

마소, 애플, 엔비디아, 테슬라, 아마존 수익률과 수익금 현황
MANTA 포트폴리오

기습적인 0.75금리인상에서 나름 선방했다. 지난달 하고는 다르게 많이 하락하지는 않더라. 테슬라를 1주 추가 매수했는데, 신의 한 수였다. 골고루 분산으로 샀으면 더 큰 하락을 했을 텐데 빅 테크 중 가장 포텐셜이 큰 테슬라가 계좌를 지켜주었다. 테슬라는 650달러 이하가 되면 추가 적으로 매수할 계획이다. 이후 매집 포인트는 600달러 이하가 오면 과감하게 2주 정도를 매수하여 해외주식 비중에서 20%까지 매수할 계획이다. 아마존의 부진이 안타까운데, 추가 매수는 아직은 하지 않을 생각이다. 우선 순위는 테슬라 마소 애플 엔비디아 아마존 순으로 현금이 되는대로 매집할 생각이다.

성장주

알파벳, 넷플릭스, 인텔 수익률과 수익금 현황
성장주 포트폴리오

하... 참 보고 있으면 한숨이 나온다. 넷플릭스는 성장주 지수에서 가치주 지수로 편입되고 인텔은 더 떨어지고 참 답답하다. 인텔은 20주를 추가 매수하였는데, 쫌 참을껄 하는 생각이 많이 든다. 꾸준히 매수할 생각으로 처음부터 샀지만 원칙을 어기고 한 번에 20주 씩이나 샀기 때문이다. 전체 비중 2위인 종목이 손실률은 가장 크다. 그나마 배당금이 3% 정도 되기 때문에 위안을 삼지만 당장 팔아버리고 싶은 마음을 억지로 참아 낸다. 알파벳은 계획한 대로 분할 전까지 하루에 10$씩 소수점 매수를 해나가고 있다. 넷플릭스는 7월에 2~4주 정도 추가 매수를 하려고 했다가 성장주 지수에서 가치주 지수로 편입된 것을 보고 모두 정리하고 다른 종목을 찾아볼까 고민하였지만 아직은 지켜보기로 했다. 넷플릭스 광고 모델 출시 후 상황을 봐도 늦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텐 베거

그랩, 백트, 데스크탑 메탈 수익률과 수익금액 현황
텐베거 포트폴리오

가장 작은 비중에 가장 적은 투자금액인데 가장 큰 손실을 주고 있는 포트폴리오. 실적이 없는 주식들이라 역시나 힘이 없다. 비중 10%까지 매수를 하려고 했지만 매수에 손가락이 움직이질 않아 그대로 둔 주식이다. 7월에는 다시 매집을 시작할까 한다. 그랩은 엔데믹 이후 동남아 여행이 정상화되면 높은 상승을 이룰 거라 확신이 들고 백트는 가상자산이 활성화되면 지금 가격이 애플 0.3달러 하던 시절 금액처럼 될 거라 믿는다. 데스크톱 메탈의 경우에는 고물가 시대에 제조기업들의 제조원가 절감에 아주 큰 기여를 할 거라는 꿈을 가지고 아직까지는 보유해 보려고 한다.

 

ISA

ISA 계좌 수익 현황
ISA

매주 한 번씩 무지성 매수하는 포트폴리오이다. 유튜브 채널 중에 수페 tv에서 하는 챌린지를 모방해서 하고 있다. 한국 주식은 매수하지 않지만 ISA계좌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해 보려고 매수하고 있다. 만기는 20년으로 하였다. 

암호화폐(비트코인)

업비트 자산현황
비트코인 매수현황

비트코인 매수한지도 벌써 한 달이 되었다. 이제 30만 원인데 전체 비중 10%까지 맞추려면 앞으로 200만 원 가량을 더 매수해야 한다. 가상자산의 빙하기라고는 하지만 알트코인은 몰라도 비트코인만큼은 금을 대체할 수 있는 자산이기에 꾸준히 매수하려고 한다. 

 

 

 

 

7월에는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꺾이길 기대해본다. 2분기 실적이 나오는 7월 말이 조금 무섭기도 하다. 2분기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공급망 문제로 기업들의 실적이 저조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인데, 너무 낮은 컨센서스로 인해 실적이 어닝서프라이즈를 하길 기대해본다. 모두 건강한 투자를 하자.

 

반응형

댓글